세계일보

검색

[이슈플러스] 동물복지 규정 업계 반발에 축소… 동물 빠진 ‘동물원법’

입력 : 2017-05-24 21:09:09 수정 : 2017-05-24 21:09:0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내 첫 법제화… 30일 시행 논란 / 지자체 등록·수의사 배치 의무화 / 국회 논의 때 사육환경 기준 제외 / 미국·유럽선 종별 최소면적 지정 / 스트레스 예방 위한 공간도 마련 / 국내는 종 불문 최대 35㎡가 고작 / 관련 단체들 “시설 규정 개정해야”
동물원 호랑이에게 우리나라 법이 보장한 사육 면적은 얼마나 될까. 몸길이가 3m에 이르는 호랑이에게 야생생물법이 정한 면적은 14㎡(3.5m×4m). 호랑이가 제자리에서 한바퀴 돌 수 있는, 딱 그만큼의 공간이면 호랑이를 동물원에 들이는 데 아무런 법적 문제가 없다. 원숭이, 곰, 수달, 야생말 등에 보장된 공간도 좁게는 1.6㎡, 넓어봐야 35㎡가 고작이다.

24일 환경부에 따르면 30일부터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동물원법)이 시행된다. 우리나라 1호 동물원인 창경원 개장(1909년) 이후 100여년 만에 만들어진 법이다. 하지만 사육환경 기준 마련과 동물복지위원회 구성 등을 담았던 원안이 관련 업계의 반발로 내용이 크게 축소돼 ‘동물이 빠진 동물원법’이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동물원법은 일정 규모 이상의 동물원이나 수족관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하고, 사육 동물 수별로 적정한 규모의 수의사나 사육사 배치를 의무화했다. 모두 동물원 설립과 운영에 관한 규정일 뿐 어딜 봐도 동물 복지에 대한 내용은 없다.

“동물 법적지위 보장하라” 동물 권리를 옹호하는 시민단체 ‘케어’ 회원들이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의 법적 지위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동물을 일종의 ‘물건’으로 취급하고 있는 현행 민법 98조를 상대로 헌법소원을 낼 계획이다.
연합뉴스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의 동물원법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영국은 1981년 동물원허가법을 제정해 이 법에 따라 현대 동물원 운영지침을 마련했다. 이 지침은 △먹이와 물 △안정된 환경 △건강관리 △정상적인 행동 표현 △공포와 스트레스 예방이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 있다. 예컨대 쾌적한 환경과 적당한 공간을 제공하라는 데 그치지 않고, 관람형태(일반 관람, 체험, 사파리 등)에 따라 사람과 동물을 각각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어떤 식으로 ‘비밀공간’을 마련해 줘야 하는지 등의 내용까지 담았다. 우리나라 동물원법에는 ‘보유 생물에 대해 특성에 맞는 영양분 공급, 질병 치료 등 적정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라’고만 돼 있다.

스위스 동물원법은 동물 종별로 최소 사육면적을 규정해 놓았는데 면적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넓을 뿐 아니라 실내외 기준을 분리했다. 호랑이의 경우 2마리까지는 실외 80㎡, 실내 30㎡의 면적을 최소한 보장받는다. 1마리라도 면적기준은 같다. 단순히 규정으로만 따졌을 때 우리나라 동물원의 호랑이보다 8배 넓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셈이다. 미국과 호주도 동물복지에 관한 내용이 동물원법의 핵심이다. 

우리나라는 동물원법이 마련되기 전인 2014년 야생생물법에 사육기준을 정했다. 3만5000종에 이르는 국제적 멸종위기종 가운데 90종에 관한 내용인데, 겨우 몇걸음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좁을 뿐만 아니라 실내외 구분 없이 뭉뚱그려 놓았다. 코끼리 같은 ‘동물원 대표 선수’는 아예 빠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외국 사례를 참고해 기준을 만들었는데 국내 동물원 중에 코끼리 사육기준을 맞출 수 있는 곳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당초 동물원법 제정안에는 사육동물 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담겨 있었지만 국회 상임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빠졌다.

외국은 법으로 일일이 사육기준을 정할 수 없는 경우 각 나라 동물원협회의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한다. 미국의 AZA(동물원수족관협회), 유럽의 EAZA, 영국의 BIAZA 등은 모두 홈페이지에 동물별 사육 환경을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KAZA가 있지만 사육 지침은 없다.

동물복지 관련 단체에서는 ‘동물 애호가’로 알려진 문재인 대통령이 동물원 동물 복지에도 관심을 기울여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유기묘인 찡찡이와 뭉치, 유기견인 마루와 지순이를 키우고 있고, 곧 유기견 토리를 입양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반려견 놀이터 확대와 유기동물 재입양 활성화, 길고양이 급식소 사업 확대 등의 반려동물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어웨어) 이형주 대표는 “이번에 시행되는 동물원법은 동물 복지 규정이 모두 빠진 채 껍데기만 남은 법”이라며 “시설 규정을 마련해 부합하는 곳만 동물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