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생활정보 채널을 중심으로 식탁을 물티슈로 닦는 습관이 안전한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티슈는 용도와 성분이 다양하지만, 식탁처럼 음식이 직접 닿는 표면에 사용하려면 제품 라벨에서 ‘식품 접촉면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소비자원 등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는 물티슈에는 보존제와 계면활성제 등 화학 성분이 포함돼 있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분이 식탁처럼 음식이 직접 닿는 면에 남을 수 있는 만큼, 청소 시 제품의 용도와 성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일부 제품에는 냄새를 없애기 위한 향료가 첨가되는데, 이 성분은 민감한 사람에게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이 성분들이 식탁 표면에 남을 경우, 그 위에 놓인 음식과 함께 체내로 들어갈 수 있다. 겉보기에는 깨끗해 보여도 미세한 화학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반복적인 노출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살균 기능을 강조한 물티슈의 경우, 화학 성분의 농도나 종류가 제품에 따라 더 높을 수 있어 사용 전 반드시 제품 표시를 확인해야 한다.
대표적인 성분인 ‘벤잘코늄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는 강력한 살균·소독 효과가 있지만, 반복 노출 시 알레르기성 피부염이나 점막 자극, 호흡기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 성분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피부나 눈 자극 및 호흡기 이상 등 건강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당부한다고 안내한다. 환경부 역시 생활화학제품 안전 지침에서, 소독제·살균제가 포함된 생활화학제품은 식품이 직접 닿는 면에서의 사용을 피하고, 필요 시 물로 충분히 닦아내는 등 안전수칙 준수를 안내한다.
식탁의 재질에 따라 화학 성분이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대리석 식탁은 보기엔 단단하고 매끈하지만 실제로는 미세한 모공을 지닌 천연석으로 액체 또는 산성 물질에 취약하다. 따라서 알코올이나 산성·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세정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표면의 광택이 손상되거나 얼룩이 남을 수 있다.
나무나 원목 식탁 역시 마감 코팅층이 벗겨지면 오염물 흡착이 쉬워지고, 얼룩이나 변색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식탁을 청소할 때 미온수에 적신 행주나 물에 살짝 적신 키친타월을 이용해 닦은 뒤, 즉시 마른 천으로 물기를 제거해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세정보다는 헹굼의 개념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한 행주는 반드시 삶거나 햇볕에 말려 세균 번식을 막는 것이 안전하다.
물티슈를 사용할 경우 ‘식품 접촉면 사용 가능’ 또는 ‘주방·식탁 전용’ 등 용도 표기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향료·보존제·알코올이 성분표의 앞부분에 기재된(상대적 함량이 많은)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일부 제품에서는 “식품 접촉면에 사용할 경우 반드시 물로 헹굴 것”이라는 안내 문구가 기재돼 있으므로, 사용 후에 깨끗한 물수건으로 한 번 더 닦아내는 절차가 필요하다.
국외 연구에서도 같은 경고가 이어진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2024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물티슈나 살균티슈 등에 살균제로 사용되는 4급 암모늄화합물(QAC) 계열 성분이 경질 표면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다며, 식품이 닿는 면에 사용할 경우 물로 헹굼 절차를 거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는 QAC 성분이 반복적으로 사용된 실내 환경에서 먼지나 표면에 잔류해, 흡입이나 피부 접촉을 통해 인체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국내에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독제·세정제를 식탁에 사용할 경우 성분이 표면에 남을 수 있어, 사용 후 물로 한 번 더 닦아낼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식탁은 하루에도 여러 번 음식이 직접 올려지는 공간인 만큼, 사용하는 제품의 성분과 용도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눈에 보이는 얼룩보다 더 위험한 것은 보이지 않는 잔류 화학물질이라는 점에서다.
물티슈 한 장의 편리함이 식탁 위의 안전을 해칠 수 있다. 청결해 보이더라도 표면에 남은 성분이 가족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오늘부터는 미온수와 깨끗한 행주로 지키는 ‘진짜 청결 습관’으로 바꿔보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제주 해변이 ‘신종 마약 루트’?](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503.jpg
)
![[기자가만난세상] 김포를 바꾼 애기봉 별다방 1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26/128/20250626518698.jpg
)
![[삶과문화] 김낙수와 유만수는 왜 불행한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09/128/20251009511351.jpg
)
![[박일호의미술여행] 로코코 미술과 낭만주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31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