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960년대부터 80년대 후반까지 충무로와 종로3가 일대는 한국영화의 대명사였다. 단성사, 피카디리, 대한극장, 서울극장 등 개봉관과 영화사가 몰려 있는 데다, 각종 포스터와 홍보물을 찍어내는 인쇄골목이 번창하면서 황금기를 구가했다. 멀티플렉스(복합문화상영관) 자체가 생소했던 당시 극장은 오롯이 영화 한 편만 상영되는 단관이다. 국내 영화 산업 기반이 미약한 데다 수입작에 의존하다 보니 개봉작이 많지 않아서다. 할리우드 대작이라도 극장에 내걸리면 수백명이 줄을 서는 건 예사였다.

그런 영화관도 시대적 흐름을 비껴갈 수 없었다. 1904년 개관한 국내 최초 상설영화관 단성사는 108년 만에 문을 닫았다. 2005년 복합상영관으로 탈바꿈하며 재기를 노렸지만 경영 악화와 부도가 발목을 잡았다. 단성사 맞은편에서 한국영화의 전성기를 이끌던 피카디리는 CGV로 간판을 바꿔 단 지 오래다. 서울극장도 2021년 문을 닫았다. 한 곳에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골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식과 쇼핑, 오락까지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렉스에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관객들이 넓은 좌석과 스타디움식 스크린 등 첨단 시설을 갖춘 영화관에 몰리는 건 당연하다.

충무로에 유일하게 남아있던 대한극장이 오는 30일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다. 대한극장은 1958년 개관 당시 1900개 좌석으로 ‘국내 최대 규모 영화관’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미국 영화사 20세기 폭스가 설계한 대한극장은 빛의 방해를 받지 않는 대한민국 1호 무창(無窓) 영화관이기도 했다. 벤허(1959년작), 사운드 오브 뮤직(1969년), 킬링필드(1985년)로 매진 사례의 신화를 이어갔다. 1962년 2월 벤허를 개봉할 당시엔 70㎜ 필름을 소화할 수 있는 대형 스크린의 전차 경주 장면이 장안의 화제가 됐다. ‘벤허 극장’으로 불리며 3시간 넘는 러닝타임 영화를 6개월간 장기 상영하는 진기록을 세운 이유다.

대한극장 역시 2002년 말 11개 상영관을 갖춘 멀티플렉스로 바꿔 생존을 모색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새로운 공연장으로 재개관을 준비 중이라지만 ‘극장’에 대한 중장년층 마니아의 추억을 되새기기엔 역부족이다. 무엇보다 한국영화의 상징이던 ‘충무로 시대’가 저물어간다는 게 안타깝다.


김기동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혜성 '심쿵 눈빛'
  • 정혜성 '심쿵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김혜수 '천사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