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AI 법안은 혁신 방해 아닌 가속화 도구”

입력 : 2025-01-23 23:00:00 수정 : 2025-01-23 21:47: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다보스포럼 ‘AI 거버넌스’ 토론

佛 장관, 산업계·정부 상생 역설
유엔 사무총장, 글로벌 규범 제안
IBM CEO “업계 섬세한 메스 원해”
기술 개 방 유지 속 안전장치 강조

인공지능(AI) 기술의 부작용을 줄이고 인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구현할 방법을 찾으려는 논의가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진행됐다. 22일(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AI 거버넌스’ 토론 세션에서는 AI 분야에서 정부와 재계를 대표하는 인사들이 나와 AI의 바람직한 미래에 관해 토론했다.

토론에 앞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특별연설을 통해 AI의 부작용을 막을 글로벌 규범체계를 세우자고 제안하면서 토론에 열기를 더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AI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점을 인정하면서도 “속임수의 도구가 될 수 있고 노동시장을 혼란에 빠뜨리거나 전쟁터에 냉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면서 인권에 중심을 둔 AI 규범을 함께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2일(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열린 2025 세계경제포럼(WEF) ‘AI 거버넌스’ 토론세션에서 각국 전문가들이 모여 AI 규범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미르 사란 인도 싱크탱크 옵서버 리서치 재단(ORF) 회장, 압둘라 알스와하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부 장관, 클라라 샤페즈 프랑스 인공지능·디지털 기술 담당 장관, 아빈드 크리슈나 IBM 최고경영자(CEO), 아르튀르 멘슈 미스트랄 CEO. 세계경제포럼(WEF) 제공

토론에 나온 압둘라 알스와하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AI 시대에 더욱 심화할 디지털 격차 문제를 짚었다. 그는 “세계 인구 가운데 26억명은 디지털 정보 접근성에서 뒤처져 있고, AI에 접근할 수 있는 인구는 7억∼10억명에 불과하다”면서 “정보 소외 지역에 데이터 흐름이 계속 안 생기면 되돌릴 수 없는 경제적 손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클라라 샤페즈 프랑스 인공지능·디지털 기술 담당 장관도 AI 산업계와 정부가 서로 상생하는 규범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규제로 AI의 혁신을 발목 잡는 게 아니라 정부가 AI 산업의 혁신을 도우면서 업계와 함께 AI 기술의 안전성과 신뢰를 구축해 나가자는 의미다. 그는 “기술의 경쟁력은 정부에도 중요한 부분”이라며 “AI 법안은 혁신을 방해하는 게 아니라 가속하는 도구로 인식돼야 한다”고 말했다.

AI 업계에서도 규범에 거부감을 드러내기보다는 당국과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입법 과정에서 규제가 과중해지는 것을 경계했다. 아빈드 크리슈나 IBM 최고경영자(CEO)는 “업계는 당국에 섬세한 메스를 원했지만 규제 시행 단계에서 대형 망치처럼 작동한다면 혁신을 방해하는 일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I 기술을 개방적으로 유지하고 극단적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강력한 규제를 동원하며 AI 개발자가 제품에 어떤 안전장치가 있는지를 명확히 밝히도록 하는 등 개발자 측이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규범의 기본이 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유럽판 챗GPT’를 만든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의 아르튀르 멘슈 CEO도 AI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데 방점을 둘 것을 주문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혜수 '눈부신 미모'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
  •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