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공백이 길어지던 재외공관장 인사를 28일 단행했다. 대사 7명과 총영사 2명 등 9명으로 모두 직업 외교관이다.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임공관장(주인도네시아대사·주중국대사)으로 지명한 방문규 전 산업부 장관과 김대기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지난 1월말에 이어 이번에도 제외됐다.
이번에 임명된 이들은 주네덜란드대사에 홍석인 전 공공외교대사, 주덴마크대사에 이동렬 국제사이버협력대사, 주이라크대사에 이준일 한반도정책국장, 주레바논대사에 전규석 전 주이스라엘 공사참사관 등이다. 최근 수교 문제로 시리아와 협의하며 정부 대표단을 이끈 김은정 아프리카중동국장은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를 맡는다.

네덜란드의 경우 6월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리는데도 대사가 9개월째 공석이라는 점 등이 우려를 낳아왔다. 나토 정상회의가 새 정부 출범 후 첫 다자외교 무대라는 점에서 당국자 인사를 서두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선 전 마지막일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인사에서도 특임공관장 임명이 빠지면서 정권 교체 시 이들의 부임은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특임공관장은 대통령이 전문성과 자질을 갖췄다고 판단해 공관장으로 발탁하는 경우로, 직업 외교관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정무적 판단이 반영됐다는 점에서 대통령이 탄핵됐는데도 임명을 강행하는 건 외교 결례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데 이어 특임공관장 임명도 할 것인지 주목됐지만, 선출된 공직자가 아닌 권한대행 신분으로는 역할을 넘어선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