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타와 만난 새타령… ‘남도민요의 가요화’ 해냈죠”

입력 : 2025-06-30 20:30:00 수정 : 2025-06-30 20:07: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소리꾼 정은혜, 인디밴드 까데호와 협업 무대

‘흑인 음악’ 3인조 밴드 까데호와
특유 리듬에 한과 굵은 농음 담아내
13일 여우락 축제 일환 남산서 공연

“30분에 한 곡 나올 정도로 손발척척
성악·日‘노’ 등 여러 소리 탐닉해와
동시대에 살아 숨쉬는 전통 추구”

소리꾼 정은혜가 인디밴드 까데호와 함께 무대를 만든다. 30여년 동안 자신의 소리가 지닌 가능성을 탐색하며 음악과 연극을 넘나든 무대 예술인과 재즈·블루스·솔 등의 흑인음악 장르를 기반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선보이는 인기 3인조 밴드의 만남이다. 남다른 감각의 여우락 예술감독 이희문이 ‘남도민요의 가요화’라는 과제를 부여하며 맺어줬다.

‘정은혜×까데호의 사우스바운드’는 국립극장의 여우락 축제가 절정에 달하는 7월13일 서울 남산 국립극장 달오름에서 관객과 만난다. 최근 쇼케이스에서 미리 본 이들의 무대는 압도적 기량에서 분출되는 에너지가 인상적이었다.

여우락 2025에서 3인조 인디밴드 까데호와 ‘사우스바운드’를 공연하는 소리꾼 정은혜. 이제원 선임기자

지난 25일 국립극장에서 만난 정은혜는 이번 협업에 대해 “처음 본 날부터 정말 순조로웠다. 어떤 날은 30분마다 한 곡씩, 하루 2시간에 네 곡 정도 나올 정도였다. ‘이렇게 해도 되나’ 싶을 만큼 서로 잘 맞았다”고 말했다.

작업 과정은 까데호 특유의 리듬에 남도민요를 얹었다고 하는데, 그 결과물은 근원을 따지는 게 불필요할 정도로 자연스러우면서도 강렬하다. 정은혜는 “공연은 골조가 단단하게 짜여 있고 그 안에서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며 “즉흥성이 짙은 듯하지만 사실 굉장히 탄탄한 구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처음엔 기타리스트 이태훈씨가 리프 중심의 구성을 제안했어요. 중독성 있는 비트나 선율 위에 제가 전통 민요의 다양한 버전을 제시했고, 카카오 단톡방에 민요 자료를 다 올려줬어요. 가창자에 따라 느낌이 얼마나 다른지, 그걸 까데호가 얼마나 음악적으로 재구성해내는지 함께 고민했죠.”

남도민요를 고른 이유에 대해 그는 “제가 남도 소리를 하는 사람이고, 합창 구조나 매기고 받는 소리로 돼 있어서 까데호와의 작업에서 주고받는 흐름도 잘 맞는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의 목표는 남도민요를 ‘가요화’하는 데 있어요. 사람들이 ‘이게 남도민요야?’라고 해도, 음악적으로 좋으면 그걸로 충분하다는 생각이에요. 전통을 박제된 채로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에 살아 숨 쉬게 하는 거죠.”

가요로 부르기 쉬운 곡을 고르기보다 흥타령, 육자배기, 화초사거리, 보령 새타령 등 남도민요만의 한(恨)과 굵은 농음, 삶의 고뇌가 담긴 깊이 있는 곡 중심으로 준비했다. 결과물이 좋아서 음원, 음반,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방식의 콘텐츠화를 구상 중이며 여러 무대에도 함께 나설 계획이다.

7세 때 판소리를 시작한 후 남원국악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국악을 전공한 정은혜는, 전통 판소리의 뿌리를 바탕으로 창극과 연극, 창작음악극까지 넘나들며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국악예고 시절엔 새벽 다섯시부터 시작한 연습을 자정 넘어까지 이어갔다. 춘향전 중 ‘귀곡성’을 연습할 때는 기숙사 사감이 교내 방송으로 “정은혜! 남자기숙사 애들 잠 못 잔다. 네 귀신소리 때문에!”라고 연습을 중단시키곤 했다.

2013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한 지 5개월 만에 창극 ‘메디아’ 주연을 맡아 주목을 받았는데 다시 2년 만에 그만두고 ‘정은혜컴퍼니’를 설립해 독립 창작자로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전통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성악, 아시아 창법, 실험 음악극 등 다양한 장르와의 접점을 모색해왔으며, 연극 ‘리차드 3세’, ‘오이디푸스’ 등에서 황정민과 호흡을 맞췄다.

음역이 높고 하이톤이 강했던 그는 콜로라투라의 매력에 빠져 성악을 하고 싶기도 했다. 판소리에서 시작해서 성악과 연기, 실험 음악극 등 다양한 영역을 활보하며 자신의 소리가 지닌 한계를 시험해온 것이다. “다양한 소리에 대한 탐닉이 있었던 것 같아요. 내가 가지고 있는 판소리와 전혀 다른 발성을 하는 소리, 예를 들어 몽골의 민가, 중국 소수민족 묘족의 소리, 일본의 노(能) 같은 데서 느껴지는 창법에 탐닉했던 시간이 있었어요. 저는 어릴 때부터 오래 노래하면서, 늘 소리적인 본질이 뭘까를 고민했어요. 내가 지금 부르는 노래가 이 시대를 살아내야 하는 소리인지, 어떻게 해야 동시대적인 호흡을 할 수 있을지를요.”

정은혜의 소리 탐색은 이제 아름다움의 추구로 나아가고 있다. “30대 때는 나의 소리를 탐색하는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어요. 극한의 아름다움은 아주 처연한 곳에도, 아주 신나는 곳에도 존재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겼어요. 그걸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은 거죠.”


박성준 선임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
  • 박보영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