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으로 건너가 짝을 찾는 한국 남성들이 늘고 있다. 일본 여성과 결혼하면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인식이 국제결혼 선호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매체 TBS는 7일(현지시간) 일본의 국제결혼 전문 결혼상담소 ‘데이리에’의 홍대의 대표 발언을 인용, 한국인 남성들이 낸 신청서가 쇄도하고 있으며 그 수가 8000건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홍 대표는 일본에서 결혼 상대를 찾는 한국인 남성들에 대해 “한국인 남성은 (한국에서의) 결혼을 포기했지만, 일본 여성은 함께 노력한다는 자세가 있다”고 짚었다. 결혼 과정에서 남성의 금전적 부담이 큰 한국의 결혼 문화가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과연 그럴까. 이날 방송에는 30대 한국인 남성 하모 씨가 출연했다. 한국에서 항공기 연구개발 직무를 맡고 있다는 하씨는 최근 일본인 여성과 맞선을 보기 위해 일본을 찾았다.
그는 “한국의 결혼 문화에서는 남성이 집을 준비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대출 없이 집을 사려고 하면 40살은 되어 버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인 여성이면 남성에 요구하는 금전적 부담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해 일본에서 (결혼) 상대를 찾으려 한다”고 했다.
하씨가 일본에서 맞선을 위해 지출한 비용은 100만엔(한화 약 940만원)을 웃돈다. 결혼상담소 입회비, 항공료, 자기관리 비용까지 모두 포함된 금액이다.

한국 남성과의 국제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일본 여성도 늘고 있다.
한류로 인해 한국 남성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진 덕분이다. 한국 남성과 맞선을 본 한 일본인 여성은 “(한국인 남성을) 드라마에서 봤는데 스스로 해내겠다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이바라키대학의 사사노 미사에 강사는 “어린 시절부터 한국 문화, 영화 등 콘텐츠를 봤기 때문에 한국이 빛나는 그런 멋진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TBS는 “한국과 일본은 문화를 통해 관계가 깊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바다를 건너 결혼 상대를 찾는 것은 더 늘어날지도 모른다”고 분석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결혼은 1176건으로 전년보다 40% 급증했다. 10년 사이 최다 기록이다. 반면 일본인 남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은 147건에 그쳐 10년 전과 비교하면 5분의1 수준으로 감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