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50만원씩 3년 부으면 1800만원 아닌 ‘2016만원+α’…“무슨 적금이길래?” [수민이가 궁금해요]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9-13 06:04:24 수정 : 2025-09-13 06:04:22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재명 정부의 청년 공약인 '청년미래적금'이 내년 6월 출시된다. 청년미래적금은 청년층의 종잣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금 상품이다. 월 50만원 한도에서 납입하면 정부가 6% 또는 12%를 매칭해 지원하는 방식이다.

 

청년미래적금은 청년층의 종잣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금 상품이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금융위는 12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미래적금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상품 설계 방향을 공유했다.

 

금융위는 "지원율은 지금까지 금융당국 청년 자산형성 상품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만기는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 부담을 경감하고 적정한 수준의 자산 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3년으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청년미래적금은 소득요건 등을 만족하는 청년이 3년간 매월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종잣돈을 쥘 수 있도록 설계됐다.

 

3년간 매달 50만원씩 납입하면 원금은 1800만원이다. 일반형(일반 청년)에 지급되는 6%의 정부 기여금을 더하면 1908만원, 우대형(중소기업에 새로 취업한 청년)에 붙는 12% 지원율을 더하면 2016만원이 된다.

 

연 이자율 5%를 가정하면 만기 수령액은 각각 약 2080만원, 2200만원으로 불어난다. 실제 적용 금리는 참여 은행 확정 이후 정해진다.

 

정부는 청년미래적금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원율은 지금껏 금융위 청년 자산형성 상품 중 가장 높다”며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 부담을 경감하고 적정 수준의 자산 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만기는 3년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이 상품에서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 적용을 추진한다. 또 올해 말 비과세혜택이 일몰되는 전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