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환율 수준 유지되면 1년 늦어질 듯
한국의 국민 1인당 국내총생산(GDP) 4만 달러 시대는 내후년 도래할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가 지난달 전망한 성장 경로가 유지된다는 것이 전제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지금처럼 고공행진하면, 4만 달러 돌파 시점은 2028년으로 한 해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기획재정부·한국은행·통계청 등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는 2027년 4만526달러로 사상 처음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1인당 GDP는 지난해 3만5천223달러에서 올해 3만7천430달러로 늘어난 뒤 2026년 3만8천947달러, 2027년 4만526달러, 2028년 4만2천208달러, 2029년 4만4천4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새로 제시한 경상(명목)성장률 전망치를 토대로 추산한 것이다.
정부가 전망한 경상성장률은 2025년 3.2%, 2026년 3.9%, 2027년 3.9%, 2028년 4.0%, 2029년 4.1%다.
이를 지난해 경상(명목) GDP 1조8천746억달러에 대입해 각 해의 GDP 전망치를 구하고, 이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총인구로 나누는 방식으로 추산했다.
한국 1인당 GDP가 3만달러를 처음 넘어선 시점은 2016년(3만839달러)이다. 이후 2018년 3만5천359달러로 늘었으나 2019년 3만3천818달러, 2020년 3만3천652달러로 2년 연속 뒷걸음질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이었다.
2021년에는 정부의 소비지원 등 경기 부양책과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3만7천503달러를 찍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소비 악화와 수출 둔화 등의 영향으로 3만4천810달러로 줄었다.
현재로서는 1인당 GDP 4만달러 돌파 시점은 주로 환율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2027년 4만달러 돌파 전망은 환율이 지난해 수준인 1,364원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에 기반하는데 올해 들어 지난 12일까지 평균 환율(주간 종가 기준)은 1,413.6원으로 훨씬 높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된 데다가 미국의 관세 위협이 이어지면서 환율은 올해 상반기 1,500원을 넘보는 수준으로 상승했고 지금도 1,400원 턱밑에서 움직이고 있다.
환율을 1,390원으로 가정하면 내후년 1인당 GDP 전망치는 3만9천767달러에 그치고 2028년에야 4만1천417달러로 4만달러를 넘어선다.
만일 정부가 예상한 성장경로에서 벗어난다면 1인당 GDP 4만달러 달성은 더 멀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1인당 GDP가 2029년(4만341달러)에야 4만달러선을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IMF는 지난해 10월까지는 2027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환율 상승에 저성장 고착화 조짐을 반영해 전망을 수정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