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산 가스터빈 첫 수출… ‘종주국’ 美시장 뚫었다

입력 : 2025-10-13 17:58:41 수정 : 2025-10-13 18:19:06
이동수 기자 d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두산에너빌, 美 빅테크와 계약
2026년 말까지 380㎿급 2기 공급
AI 전력수요 따른 추가수주 기대

두산에너빌리티가 발전소의 ‘심장’으로 불리는 가스터빈의 수출 테이프를 끊었다. 첫 수출임에도 ‘가스터빈 종주국’이라 불리는 미국 시장을 뚫으며 340조원 이상 규모의 세계 가스터빈 시장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빅테크와 380메가와트(MW)급 가스터빈 2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공급은 내년 말까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두산에너빌리티가 해외 시장에 가스터빈을 공급하는 첫 사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국내 산학연과 함께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하며 미국·독일·일본·이탈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가스터빈 기술을 확보했다. 이후 국내 발전소를 중심으로 총 6기의 가스터빈을 수주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해외 시장에 발을 디딘 것이다.

 

이번 해외 수주의 배경에는 인공지능(AI) 시대 도래에 따른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폭증이 있다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설명했다. 세계 각지의 데이터센터는 기존 전력망으로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워 자체적인 전력 공급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에 따라 건설 기간과 공급 안정성, 가동 기간, 효율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가스터빈이 주목받고 있다. 가스터빈은 신규 공급만큼이나 유지 보수 등 서비스의 중요성이 큰데, 향후 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 시장에 공급하는 가스터빈의 정비 서비스는 DTS가 맡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가스터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내다본다. 시장조사기관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는 지난해 2396억달러(약 342조원) 규모였던 글로벌 가스터빈 시장이 연평균 4.66%씩 성장해 2032년 3750억원(약 535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비즈니스그룹장은 “이번 계약은 대한민국이 가스터빈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뜻깊은 전환점”이라며 “미국 등 해외 시장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