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은 캄보디아에서 자신이 구출한 한국 청년 3명이 ‘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 범죄 피의자로 알려진 뒤 불거진 논란에 대해 “가해자이면서 피해자”라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일부 캄보디아 교민들은 “구출된 청년들은 피해자가 아니라 용의자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주장하면서“왜 구출이라는 표현을 쓰느냐”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20일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구출 청년의 신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그 청년들은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일 것”이라며 “악의 소굴에 그대로 있으면 생명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구출은 당연한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진행자가 논란을 언급하자 김 최고위원은 “캄보디아 경찰에 잡힌 분 중 한국으로 오기를 거부하는 분도 꽤 있고, 부모하고도 통화를 원치 않는 분들도 있다”면서 “다행히 제가 구출한 3명 모두 한국행을 원했고, 간 지 두 달 정도밖에 안 된 초범들이었다”고 했다.
앞서 김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캄보디아에 감금됐던 청년 3명을 마침내 고국의 품으로 데려온다. 첩보 영화를 찍는 심정으로 구출 작전을 펼쳤다”며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청년을 구출하는 원동력이 됐다”고 밝혔다.
다음 날 국회 기자 간담회를 통해서도 “사람을 구하기 전까지 마치 첩보 영화를 찍는 심정이었다”며 3명의 구출 과정을 설명했고 캄보디아 경찰과 고위 관계자, 캄보디아 상·하원 의원을 설득해 겨우 그들을 구출해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의 발언 이후 자신을 사업가라고 밝힌 한 교민 A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신이 구출했다고 자화자찬한 그 청년은 구출 건인가? 아니면 경찰에서 조사해서 구속을 해야할 건인가?”라고 지적했다. 이는 피해자이자 피의자일 수 있는 이중적 지위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A씨는 “그를 ‘구출된 청년’으로 소개하는 것이 마치 선량한 피해자를 구출한 것 같은 서사로 비춰질 수 있다”고 경계했다. 이어 “문신이 선명한 인물이 ‘구출된 청년’으로 소개돼 현지 교민사회가 충격에 빠졌다”며 캄보디아 사회와 한국 범죄 집단을 구분해달라는 교민들의 호소가 있었다고도 밝혔다. 공개된 당시 현장 사진을 보면 김 의원이 캄보디아에서 구출했다는 한국 청년 정모 씨의 양팔에는 문신이 새겨져 있었다.
김 최고위원은 19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도 “청년들을 낯선 캄보디아까지 가게 한 것은 노력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이 땅의 청년 일자리 문제가 숨어 있다”며 “그들은 가해자이면서 피해자”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20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정치인의 첫번째 임무는 국민 생명을 지켜내는 것이다. 그것을 했을 뿐이다. 왜곡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