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토종 브랜드에 밀려 고전하던 스타벅스가 중국 사업 경영권을 중국계 투자회사에 넘겼다.
로이터, AP통신 등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3일(현지시간) 중국 리테일 사업 지분 60%를 보위캐피털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40억달러(약 5조7000억원)다. 이번 거래는 최근 몇 년 사이 다국적 소비재 기업이 중국 현지 법인을 처분한 사례 중 가장 큰 규모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계약에 따라 두 회사는 합작법인(joint venture)을 설립한다. 새 합작법인은 보위캐피털 주도로 운영되며, 스타벅스는 40% 지분을 유지한 채 브랜드와 지식재산권(IP)을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한다.
스타벅스는 “이번 매각 대금과 향후 10년간의 잔여 지분 및 라이선스 수익을 합산하면 총 130억달러 이상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소식이 전해진 뒤 스타벅스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약 3% 상승했다.
스타벅스를 인수한 보위캐피털은 홍콩에 본사를 둔 중국계 사모펀드다. 장쩌민 전 주석의 손자인 장쯔청(Alvin Jiang)이 공동 창업자로 알려져 있다.
로이터는 이번 거래가 “약 1년 전 락스먼 나라심한 당시 스타벅스 최고경영자가 중국 시장 성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 중이라고 밝힌 뒤 공개적으로 진행되어 온 글로벌 협상의 결실”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중국 스타벅스의 시장 점유율은 14%로 2019년 34%에서 절반 이상 줄었다. 중국 경기 둔화와 저가 커피를 내세운 현지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밀려난 것이 그 원인이다.
스타벅스는 2024년 연차보고서에서 “미·중 긴장 고조로 인한 관세, 불매운동, 정치적 민감성 증가”를 중국 시장 리스크 요인으로 명시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스타벅스는 비커피 음료 일부의 가격을 내리고 현지화 제품을 출시하는 등 대응했다. 그 결과 2분기 중국 내 매출이 직전 분기 0% 성장에서 2% 성장으로 반등했다.
스타벅스는 지난 2분기 기준 중국에서 7758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