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빈번… 음주 최소화해야
겨울은 심장을 긴장시키는 계절이다. 추위로 인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상승하고 심장은 더 강하게, 더 빨리 뛴다. 이 과정에서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 증상이 잦아진다.
4일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부정맥 환자 수는 지난해 기준 50만1493명으로 2020년 대비 5년 새 약 25% 증가했다.
부정맥의 발병 원인은 유전, 노화, 스트레스, 과음 등이다. 정상인에게도 흔히 관찰되는 심방조기수축, 상심실성빈맥 등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부정맥이 있지만 뇌졸중의 위험성을 높이는 심방세동, 급사를 일으키는 심실빈맥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도 있다. 이영신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교수는 “평소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다면, 부정맥과 심근경색,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며 “부정맥은 양상과 치료법 등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이 어떤 부정맥을 가졌는지, 정확한 진단명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가장 빈번히 나타나며 치료가 필요한 부정맥은 ‘심방세동’이다. 심장 박동이 매우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으로 빠른 빈맥이 대부분이나 방실전도 상태나 복용 중인 약제에 따라 맥박수가 빠르지 않을 수도 있다. 환자의 약 30%는 두근거림, 어지럼증 등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않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이 교수는 “심방세동은 술을 마신 저녁 혹은 다음날에 주로 발생하는데 가슴이 두근거려도 숙취로 오인해 무심코 넘기는 경우가 많다”며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뇌졸중 위험이 5배나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로와 과음, 흡연, 카페인 과다 섭취 등은 삼가고 부정맥이 의심된다면 심장 박동을 급격히 높이는 흥분상태나 과도한 신체활동은 피해야 한다. 특히, 술은 한 잔만 마셔도 부정맥의 발생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에 음주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