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그세스 “국무부와 긴밀 협조”
전투함 등 방산협력 강화도 언급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달 29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거론한 직후에 나온 미 행정부 차원의 첫 후속 발언이다.
 
            헤그세스 장관은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제57차 한·미 안보협의회(SCM)를 가진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도입 관련 질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군 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어떤 승인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말씀을 드리는 게 적절하다고 보지 않지만, 앞으로 양국이 선의를 갖고 계속 토론해 긍정적인 결과로 이끌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유관기관인 국무부, 에너지부와도 긴밀하게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간 방위산업 협력 문제도 언급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은 조선업에서 세계적 수준의 능력을 갖고 있다”며 “수상함, 전투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조선업뿐만 아니라 지상 장비, 국방연구, 과학기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핵추진잠수함 건조와 관련, 국방부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핵심 난제였던 핵연료 공급 요청을 미국이 수용함에 따라 2030년대 중·후반 우리 기술로 선도함 진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와 함께 연료 공급 협의를 위한 한·미 당국 간 협의체, 범정부 차원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국방부 장관이 주관하는 SCM은 한·미 간 주요 군사정책을 협의·조정하는 국방 분야 최고위급 기구다. 이번 SCM에선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한국의 국방비 증액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SCM 직후 양국은 합의 내용을 공동성명 형식으로 발표하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협의 중인 안보·관세 분야 팩트시트(공동설명자료)가 나온 뒤에 발표하기로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