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행안부, 공공부문 AI전환 총괄 ‘AI정부실’ 신설

입력 : 2025-11-06 06:00:00 수정 : 2025-11-05 22:51:52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조직개편안·핵심과제 발표

차관보 2년여 만에 다시 사라져
지방정부 권한 대폭 강화 방침
주민자치회 전국 확대 법제화도

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정부실’을 만들어 이재명정부 공공 부문 인공지능(AI) 전환을 주도, 디지털정부에서 ‘AI 민주 정부’로 이행해 나간다. 또 국민 주권 정부에 부합하는 ‘주민 주권 지방정부’ 구현을 위해 주민자치회 전면 실시에 나선다. 윤호중(사진) 행안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조직 개편안과 10대 핵심 과제를 발표했다. 윤 장관은 지난 7월20일 취임해 지난달 28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브리핑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인공지능정부실은 인공지능정부 정책국, 서비스국, 기반국으로 구성된다. 또 ‘자치혁신실’과 산하에 ‘사회연대경제국’이 신설된다. 기존 디지털정부혁신실 산하 정부혁신국은 ‘참여혁신국’으로 개편된다. 이에 대해 윤 장관은 “인공지능정부실은 디지털정부혁신실의 기본 구조를 크게 바꾸는 것은 아니다”며 “자치혁신실엔 윤호중표 지방자치 철학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이상민 전 장관 시절 부활했던 차관보는 2년여 만에 다시 사라진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6일 입법 예고를 거쳐 이달 말쯤 현행 1차관보-6실-1대변인-27국·관 체제가 ‘7실-1대변인-28국·관’ 체제로 바뀌게 된다.

 

이 같은 조직 개편은 10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윤 장관은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두고 “그간 전자정부, 디지털정부 추진은 양적 부분에 치중했던 측면이 있다”고 인정하면서 “정보 시스템 이중화 등 범정부 재해복구 체계 정비 등을 통해 신뢰받는 AI 민주 정부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어 “국정 파트너인 지방정부 권한을 강화하고, 지방자치 측면에서 주민 참여 기반도 공고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지방자치법을 개정해 주민자치회를 법제화할 방침이다. 주민자치회란 동 단위 주민 대표 기구로 일부 지역에서 시범 실시 중인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윤 장관은 “국세와 지방세 비율 개선, 지방교부세율 상향 등 재정분권을 통해 지역 발전을 뒷받침하겠다”고도 했으나 구체적 방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아울러 윤 장관은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 지원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면서 “수도권과의 거리, 지역 소멸 정도 등을 고려한 ‘차등 지원’을 제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오피니언

포토

하지원 '수줍은 손하트'
  • 하지원 '수줍은 손하트'
  • 전종서 '순백의 여신'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