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VR 가상도시서 정책 논의… AI가 의회 정보 제공 [심층기획-위기의 민주주의, 미래를 묻다]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5-11-18 06:00:00 수정 : 2025-11-17 21:22:57
스트라스부르=유지혜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폐회식 ‘민주주의 혁신상’ 시상

체험형 교육게임·정치플랫폼 제시 등
출품작들 AI 긍정적 가능성 엿보여

지난 5∼7일(현지시간) 열린 2025 세계민주주의포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특히 포럼 둘째날 오전에는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해 청년들이 제시한 아이디어를 집중적 토론하는 세션이 마련되면서, 다른 포럼과 달리 청년 주도성이 분명히 드러났다.

카바 모르티노 마이폴리스 프로젝트 매니저(오른쪽)가 지난 7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유럽평의회에서 열린 2025 세계민주주의포럼에서 ‘민주주의 혁신상’을 받고 있다. 세계민주주의포럼 제공

이런 분위기 속에서 7일 열린 폐회식에서는 ‘민주주의 혁신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올해 포럼에 소개된 21개 프로젝트 중 3개가 최종 후보로 선정됐고, 그중 포르투갈의 ‘마이폴리스 시티즌십 에이전트’(MyPolis Citizenship Agents)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마이폴리스는 ‘모두를 위한 민주주의’를 모토로 게임과 체험형 도구를 활용해 청소년과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재미있고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학교와 협력해 8세부터 18세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게임을 제공한다. 예컨대 가상현실(VR)을 활용해 가상의 도시를 만들고, 참가자들이 그 안에서 실제 주민처럼 움직이며 문제를 발견한 뒤 정책 참여를 통해 해결하는 방식이다.

시상 직후 인터뷰에서 카바 모르티노 마이폴리스 프로젝트 매니저는 포럼의 핵심 메시지로 “청년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다”라는 말을 꼽았다. 그는 “청년들은 그 어떤 사회 구성원보다 에너지가 많다”며 “민주주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청년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 후보로 선정된 다른 두 프로젝트도 기술과 민주주의를 결합한 시도가 돋보였다. 오스트리아의 ‘의회.참조로’(parlament.fyi)는 인공지능(AI) 기반 정치 정보 제공 플랫폼이다. 시민들이 정치 과정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원들의 발언 기록, 투표 패턴 분석, 법안 요약 기능 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게시물에 간단한 반응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해, 정보를 일방적으로 소비하는 단계를 넘어 ‘참여형 정치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카메룬의 ‘보이스유스펨’(VoiceYouthFem)은 여성·청년의 정치 참여를 강화하는 프로젝트다. 특히 갈등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소외된 청년 여성들이 모바일 기반 민주주의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AI 번역 도구를 활용해 언어와 문해력 장벽을 낮춘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미모'
  • 차주영 '완벽한 미모'
  • ‘오늘 결혼’ 김옥빈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