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감!문화재] 그림과 책이 입는 옷 ‘장황’

관련이슈 공감 문화재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6-21 23:53:08 수정 : 2017-06-21 23:53:0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박물관에 전시된 그림을 보면 사방을 두르고 있는 비단이나 종이 등을 볼 수 있다. 그림이나 서책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이와 비단 등으로 보강해주는 ‘장황’이다. 현대에는 ‘표구(表具)’라는 용어로 더 익숙하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의궤 등에서 장황은 ‘裝潢’, ‘粧?’, ‘裝?’ 등의 한자로 기록돼 있다. 장황이 잘못되어 다시 재장황하거나, 장황에 사용되는 나무, 비단 등에 대한 내용이 언급돼 있다.

장황은 주로 그림이나 서책 등의 감상방법, 형태, 용도 등에 따라 형식이 달라진다. 서책은 인쇄술의 발달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천됐다. 나뭇조각을 엮어 기록하던 것을 시작으로 두루마리와 절첩본 형태를 지나 책장을 반으로 접고 표지와 함께 묶어 장정하는 형식으로 발전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장정 형식은 선장(線裝·사진)으로 현재 문화재로도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서책 형식이다. 서책의 오른편에 다섯 개의 구멍을 뚫어 실로 묶는 오침안정법은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장정 방식으로, 종이를 꼬아서 만든 끈을 이용하여 내지를 먼저 묶은 후, 표지와 함께 실로 묶는 방식이다. 표지는 종이, 비단, 삼베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선풍장, 호접장, 포배장 등의 형식이 있었으나, 이는 쉽게 분리되거나 본문이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러한 점을 보완하며 선장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림은 두루마리, 족자와 같이 양 끝에 축을 부착하여 말고 펼 수 있는 형태, 병풍, 액자와 같이 나무로 틀을 만들고 그 위에 그림과 비단을 부착하는 형태, 또는 한 장씩 넘겨볼 수 있는 첩 형태 등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그림 화면의 상·하·좌·우 사방에 비단을 부착하여 꾸미는 것이 보편적이다.

장황은 우리 선조들의 미적 감각과 문화적 수준 그리고 당시의 유행까지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아직까지 많은 연구 결과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 장황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안지윤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청아 '시선 사로잡는 시스루 패션'
  • 이청아 '시선 사로잡는 시스루 패션'
  • 김남주 '섹시하게'
  • 오마이걸 효정 '반가운 손 인사'
  • 손예진 '따뜻한 엄마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