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숙박세 도입을 추진하면서 관광객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3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관광 진흥을 명목으로 숙박세를 도입하는 지자체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에 따른 찬반 논란도 거세지고 있다.
홋카이도 니세코정이 지난해 11월 아이치현 도코나메시가 지난달 숙박세 징수를 시작한 데 이어 히로시마현, 삿포로시, 센다이시 등 14개 지자체가 올해부터 숙박세를 부과한다.
2023년 기준 숙박세를 도입한 지자체는 9곳이었으나, 매체에 따르면 현재 오키나와현, 구마모토시 등 43개 지자체가 추가 도입을 검토 중이다.
숙박세 인상을 추진하는 지역도 있다. 대표적인 관광지인 교토시는 현행 200~1000엔(약 1800~9400원) 수준인 숙박세를 대폭 인상할 계획이다. 특히 숙박 요금이 1박에 10만엔(약 94만원) 이상일 경우 숙박세를 1만엔(약 9만 4000원)까지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내년 시행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고급 숙소에 묵는 여행객은 상당폭 오른 숙박세를 내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토는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의 조화가 이뤄진 명소로, 한국인 관광객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다. 따라서 숙박세 부담이 한국인 관광객에게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지자체들은 숙박세 징수를 통해 확보한 재원을 셔틀버스 확대, 관광객용 무선 인터넷 설치, 안내 지도 제작 등 관광 인프라 확충에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매체에 따르면 숙박세 인상이 관광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미야기현은 지난해 9월 숙박세 도입을 결정했으나 현 의회에서 찬반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매체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해 "숙박세 도입 취지와 재원 사용 계획을 주민과 공유하고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