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준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정부의 '생산적 금융' 확대 기조에 발맞춘 결과로 풀이된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8월 공시 기준 중소기업 대출(보증서담보)금리는 평균 4.06%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5~7월 신규 취급된 중소기업 대출의 평균 금리다. 올 1월 공시(4.88%) 때와 비교하면 0.82%p 감소한 것으로 지난 2022년 9월(4.02%) 이후 약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올들어 5대 은행의 가계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4.42%에서 4.06%로 0.36%p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두 배 이상 큰 폭 하락한 셈이다.
개인사업자 대출 금리도 지난달 공시 기준 평균 3.85%로 지난 2022년 10월(3.73%)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올들어서는 4.81%에서 1%p 가량 떨어져 하락폭이 컸다.
이에 5대 은행이 지난 7월 취급한 기업대출의 평균 금리는 연 4.03%로 은행연합회가 관련 공시를 시작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은행들의 기업대출 금리가 낮아진 건 기준금리가 하락하면서 자금 조달비용이 감소한 데다 정부의 '생산적 금융'을 비롯해 소상공인 지원 등 '포용금융' 확대 기조가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초 은행들은 경기 부진세로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자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 문턱을 높여왔다. 그러나 정부가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초강력 가계대출 규제를 내놓은 데 이어, 생산적 금융 확대를 주문하면서 기업대출을 확대하는 쪽으로 영업 전략을 전환하고 나섰다.
실제 5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은 지난 6월에는 2조1874억원 급감했지만 지난 7월 9348억원 늘어났고, 지난달 2조8536억원 급증한 바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도 올들어 지난 3월을 제외하고 내리 감소했다가, 지난 7~8월 1조원 넘게 늘어났다.
정부가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신규 기업대출을 확보하기 위한 은행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6일 취임 후 처음 가진 회동에서 '생산적 금융'을 강조하며 금융권 자금이 부동산·담보대출 등 비생산적 영역에서 첨단산업, 지역경제 등 생산적 금융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도와 감독 관행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뉴시스>뉴시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