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에 있는 곰이 벽에 머리를 들이받는 모습이 포착돼 관람객이 민원을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끼리도 비슷한 정형 행동을 보인다는 민원이 접수되면서 동물원 복지 실태가 도마에 올랐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관람객 A씨는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코끼리와 곰 등이 반복적인 정형 행동을 하고 있다. 특히 곰이 지속적으로 머리를 박고 있어 안타깝다”는 민원을 접수했다.
A씨는 “집에 와서 찾아보니 우리에 갇혀 있는 동물들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정신 질환이라고 한다"며 "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여 나갈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적었다.
해당 민원을 확인한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복지팀은 시설이 열악하다고 인정했다.
대공원측은 “현재 코끼리, 곰 등이 지내고 있는 맹수마을은 2009년에 리모델링됐으며 당시는 동물의 생육 환경 등 동물의 복지보다는 시민들의 관람 편의성에 우선해 지어진 시설이어서 동물 생육 환경을 제대로 구현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에 저희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동물 생육 여건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전면적인 재조성을 통해 가능하므로 재조성 전까지 동물 행동 풍부화와 긍정 강화 훈련 등 동물 복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정형 행동의 경우 한번 발생하면 없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나타나는 등 치료가 어려운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공원의 설명에 따르면 동물복지팀은 동물 복지를 위해 매일 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을 진행해 정형 행동 발생을 줄이고, 다른 고유의 행동을 유도하고 있다.
대공원은 “노후하고 열악한 동물사 환경 개선을 위해 당초 2030년 이후로 예정이었던 동물원 재조성 사업이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 중”이라며 “어린이 교육 중심 생태 동물원으로 개선해 동물들이 행복한 도심 속 동물원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BBC의 굴욕](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8027.jpg
)
![[데스크의 눈] 빚투에 대한 이중잣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0/11/10/128/20201110523430.jpg
)
![[오늘의 시선] 다카이치 ‘대만 파병’ 발언과 한국의 딜레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7592.jpg
)
![[안보윤의어느날] 소통이 사라진 자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7579.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