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 0.53%·분당 0.47%·성동 0.43%·용산 0.38%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한달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11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20% 올라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다. 수도권과 광역시 대부분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시장 전반의 강한 저항력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서울은 강북과 강남을 막론하고 대부분 지역에서 매수세가 유지됐다. 재건축 추진 단지나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성사되면서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가 0.43%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수동과 행당동 중소형 단지들에 수요가 몰리며 가격을 밀어 올렸다. 용산구도 0.38% 상승했다. 이촌과 도원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호가가 오르며 매매가격이 함께 상승했다. 마포구(0.20%)는 성산동과 신공덕동, 광진구(0.18%)는 자양동과 구의동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이어졌다.
강남권도 상승세가 뚜렷했다. 송파구는 잠실과 방이동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0.53%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양천구는 목동과 신정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0.34% 올랐고 동작구는 사당과 상도동을 중심으로 0.30% 상승했다. 강남구 역시 대치와 개포동 구축 아파트에 매수세가 붙으며 0.24%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수요가 특정 단지로 집중되는 가운데 선호도와 입지에 따라 가격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경기와 인천도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경기 아파트값은 0.11% 상승했다. 성남 분당구는 정자동과 구미동 선호 단지가 중심이 돼 0.47% 올랐고 용인 수지구는 역세권 접근성이 좋은 풍덕천과 성복동 위주로 0.42% 상승했다. 의왕시는 내손동과 포일동을 중심으로 0.38% 올라 상승폭이 컸다. 인천 역시 0.04%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중구·서구·연수구 등은 교통 접근성이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방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울산은 0.11%, 부산은 0.05% 상승하며 5대 광역시 전체가 전주보다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반면 대구와 제주 등은 하락세가 지속됐다. 세종은 새롬동과 종촌동 준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0.06% 상승해 반등했다.
전세시장도 강세가 이어졌다. 전국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고 서울은 0.15% 올랐다. 서초구는 잠원과 반포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0.32% 상승하며 전세시장을 이끌었다. 송파구는 잠실과 거여동을 중심으로 0.28% 올랐고 강동구는 고덕과 강일동 위주로 0.28% 상승했다. 수요가 선호지역으로 몰리는 흐름은 전세시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경기에서는 하남시가 망월동과 학암동 준신축 단지 수요 증가로 0.41%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원 영통구(0.34%), 구리시(0.27%) 등도 전세 수요가 꾸준히 이어졌다. 인천 서구는 청라와 원당동 중심으로 0.25% 올랐다.
전문가들은 연말에도 선호지역 중심의 ‘부분 과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금리 부담에도 불구하고 정주여건이 확실한 지역은 여전히 대기수요가 두텁다”며 “입지에 따른 가격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타워] 사법행정위 신설 ‘눈 가리고 아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80.jpg
)
![[세계포럼] 트럼프가 尹보다 나은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20/128/20250820516925.jpg
)
![[김상훈의 제5영역] ‘데이터 노동’의 대가는 왜 없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9/128/20251119518329.jpg
)
![[설왕설래] 지역의사제, 성분명 처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2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