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흑해 13개국 초청 행정혁신 연수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의 디지털정부 모델은 세계 곳곳으로 뻗어 나갔다. 지금도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 벤치마킹하려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이 우리나라의 디지털정부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데 가장 적극적인 국가다.
전자정부 전문가인 김남석 전 행안부 차관이 2013년 우즈베키스탄 정보통신기술(ICT)위원회 부위원장(차관급)을 맡아 우즈베키스탄 전자정부의 기틀을 닦았다. 김 전 차관은 우즈베키스탄 전자정부법 제정, 정보통신부 설립 등에 기여했다.
우즈베키스탄은 LG CNS, 공공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LX) 등과 협력해 전자도서관, 전자정부 데이터센터, 부동산 등록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디지털정부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는 가시적 성과로 나타났다. 2020년 87위이던 우즈베키스탄의 유엔 전자정부 지수 순위가 2024년 63위로 24계단 상승했다.
페루도 우리의 디지털정부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대표적인 국가다. 정부의 문서관리시스템 컨설팅을 통해 클라우드(가상 서버) 기반 전자문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총리실을 포함한 중앙 부처 간 전자문서 송수신 및 공람, 저장, 폐기 등 통합관리가 가능해진다.
아프리카 튀니지엔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 참여 포털인 국민신문고가 2018년 ‘e-피플’이란 명칭으로 이식됐다. 튀니지는 우리의 전자 조달 시스템과 토지 정보 시스템도 도입해 행정 서비스 디지털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울러 한국인이 많아 경기 다낭시로 불리는 베트남 다낭의 스마트 통합 도시재난관리센터 구축 및 재난 대응 역량 강화 사업, 콜롬비아의 반부패 표준 신고 시스템, 탄자니아의 도로명 주소 현대화 사업 등도 K디지털정부 벤치마킹의 일환이다.
이게 끝이 아니다. 행안부는 외교부와 올해 9월 흑해경제협력기구(BSEC) 디지털정부 협력 프로그램 초청 연수를 진행했다. 정부는 2016년부터 BSEC 사무국과 함께 격년으로 ICT 등 디지털정부 분야 역량 강화 과정을 운영 중이다. BSEC는 그리스, 우크라이나, 튀르키예 등 흑해 연안 13개국 간 교역과 경제 협력 확대 등을 위한 지역 경제 기구다.
행안부 소속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지난 9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필리핀 디지털 전환과 공공 행정 혁신 역량 강화 과정을 운영했다.
이 연수는 필리핀 정부 요청에 따라 2027년까지 3년간 공적개발원조(ODA) 방식으로 진행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4/128/20251124516440.jpg
)
![[박창억칼럼] 론스타 승소와 ‘내란 청산 TF’](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4/128/20251124516436.jpg
)
![[기자가만난세상] 그놈의 ‘영포티’가 뭐길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1/06/128/20250106517368.jpg
)
![[김태웅의역사산책] 가람 이병기의 국학과 제자 사랑](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4/128/20251124516360.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