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9월 취업자 31만명 증가, 19개월 만에 최대폭…소비쿠폰 효과에도 청년층 15만명↓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17 11:15:06 수정 : 2025-10-17 11:24:10
세종=권구성 기자 k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넘게 늘어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으로 서비스업의 고용이 개선된 영향이란 분석이다. 그러나 제조업·건설업의 일자리와 청년층 고용률은 개선되지 않았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2월 32만9000명 늘어난 뒤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들어 5월(24만5000명)을 제외하고 줄곧 10만명대를 맴돌았다.

17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구인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고용 개선세는 서비스업이 이끌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분석이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000명 늘며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7년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000명 늘었다. 올해 3월(5만6000명) 이후 최대 폭의 증가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5000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9000명 늘며 22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반면 미국의 관세정책과 건설업 불황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부진은 이어졌다. 제조업은 6만1000명 줄며 15개월 연속 내리막을 걸었고, 건설업도 8만4000명 감소했다. 농림어업은 14만6000명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17만2000명)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연령별로는 30대(13만3000명)와 60세 이상(38만1000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30대는 2000년 7월 14만1000명 늘어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나머지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4만6000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3만명 늘며 12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5000명 줄며 작년 7월(-11만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일용 근로자는 2000명 증가하면서 최근 2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용·임시 근로자는 각각 34만명, 4만4000명 늘었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은 “사업시설·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의 취업자가 증가로 전환하면서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었다”며 “소비·문화쿠폰 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소비쿠폰 효과가 한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에는 “앞으로 지켜봐야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7%를 기록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이래 9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17개월째 하락세다.

 

쉬었음 인구는 252만1000명으로 4만2000명 늘었다. 쉬었음 청년은 3만4000명 줄었지만 40만9000명을 기록하며 40만명대를 웃돌았다.


오피니언

포토

송혜교, 두바이서 미모 자랑
  • 송혜교, 두바이서 미모 자랑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