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17일 국내 금값이 국제 가격보다 큰 폭으로 올라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날 국내 금 현물 가격은 1g당 21만8000원으로 연초 대비 69.3%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국제 가격은 약 19만3000원으로 53.4% 올라 국내·국제 금 가격의 괴리율이 13.2%까지 벌어진 상황이다.

이처럼 국내·외 금 가격 괴리율이 10%를 초과한 경우는 최근 5년간 단 2차례에 불과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국내 금 가격은 제한적 수급 요인, 정보 불완전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국제 금 가격과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일물일가의 법칙에 의해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은 결국 수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 2월에도 국내 금 가격이 계속 올라 국제 가격과 차이가 22.6%까지 벌어졌으나 이후 18영업일 동안 국내 금 가격이 내려가며 평균(0.7%)에 수렴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 투자 상품의 기초자산이 국내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투자의사 결정 시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 간 괴리율 등을 참고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 금 가격은 연일 상승 흐름 속에 이날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16일(미 동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오후 4시7분 기준 전장 대비 2.6% 오른 온스당 4316.99달러를 기록했다. 한때 4318.75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운 뒤 조금 떨어졌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도 2.5% 상승한 온스당 4304.60달러를 나타냈다. 사상 최고가인 4335달러까지 오른 뒤 소폭 떨어졌다.
최근 금과 은 등 안전자산은 국제 정치·경제의 불확실성 속에 수요가 크게 늘며 연일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