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마약은 구실?…'남미 좌파 전선' 줄줄이 윽박지르는 트럼프

관련이슈 오늘의 HOT 뉴스

입력 : 2025-10-25 16:31:44 수정 : 2025-10-25 16:54: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베네수엘라 인근 해상에 항공모함까지 배치하며 마두로 압박
6년 전 '정권 붕괴 유도' 오버랩…'대통령 제재' 등 콜롬비아 압박도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브라질과 더불어 현재 남미 대륙 내 주요 좌파 정부 국가로 꼽히는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에 대해 마약 차단을 이유로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불과 3년 전까지 서로 왕래를 끊을 정도로 사이가 좋지 않았던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는 미국의 맹공을 "정권 흔들기"라고 반발하며 '스트롱맨 폭풍' 앞에서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 초상화를 배경으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24일(현지시간) 중남미 국가에서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 차단 목적이라며 베네수엘라 주변 카리브해에 항공모함을 배치했다.

숀 파넬 미국 국방부(전쟁부) 수석대변인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이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라며 "(피트 헤그세스) 전쟁부 장관은 제럴드 R. 포드 항모전단과 항모 항공단을 미 남부사령부 관할 지역에 배치하라고 명령했다"고 밝혔다.

미군은 카리브해와 중남미 연안 동태평양 등지에 군함과 전투기 등 군사력을 증강하며 '마약 운반선'이라고 주장하는 선박들을 격침하면서, 이날까지 알려진 것만 43명을 숨지게 했다.

B-1B 폭격기를 비롯한 전략 자산을 카리브해 상공에 띄우기도 한 트럼프 정부는 여기에 더해 베네수엘라 영토 내에 있는 코카인 제조 시설과 마약 밀매 경로를 직접 타격하는 계획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CNN방송은 관계자 3명의 말을 인용, "아직 육상 시설 공격 실행 여부에 대한 결정은 내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여러 징후는 베네수엘라 일대에서의 군사적 긴장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보도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현지 취재진에게 "베네수엘라에서 곧 지상 작전이 펼쳐질 것"이라며 "우리나라로 마약을 밀반입하는 사람들을 그냥 죽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백악관에서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베네수엘라 비밀작전'을 승인했다는 취지의 최근 뉴욕타임스(NYT) 보도와도 맥을 같이 한다.

석유 수출 제재 등으로 가뜩이나 궁지에 몰린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정부는 미국의 압박을 '정권 교체 야욕'이라고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마두로 대통령은 이날 국영 TV 방송을 통해 "미국이 새로운 전쟁 발발을 조작하려 한다"며 "결국 우리가 막아낼 수 있는 전쟁을 일으키려 한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미국의 이런 움직임은 마두로 축출을 위해 국회의장을 임시 대통령으로 지지하면서 베네수엘라에 '한 지붕 두 대통령' 사태를 야기했던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상황도 연상시킨다.

당시에도 미국에서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이 베네수엘라에 대한 군사 개입 카드를 암시하는 메모 패드를 기자회견장에 들고나와, '정권 붕괴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불러왔다.

미국 정부는 또 오랫동안 친미 노선을 유지하다 2022년 좌파 정부 출범 후 거리를 두게 된 콜롬비아와도 '절연' 수순을 밟고 있다.

미 재무부는 이날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과 그의 가족, 측근을 제재 명단에 올리면서, 그 배경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보호하고 마약 밀매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강력한 조처를 하고 있다"는 설명을 곁들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페트로 대통령을 '불법 마약 수장'이라고 표현하면서 콜롬비아 정부의 마약 차단 의지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미국 정부는 이미 올해 초부터 관세 부과와 이민자 본국 송환 등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며 어깃장을 놓던 페트로 대통령을 직·간접적으로 견제해 왔으며, 최근엔 콜롬비아를 약 30년 만에 마약 퇴치 비협력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역시 '정권 흔들기'라고 주장하는 페트로 대통령은 이날 엑스에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으며 결코 무릎 꿇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방 언론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정책을 일컫는 '돈로주의'(Donroe Doctrine)를 가속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는다.

유럽의 간섭을 배제하고 미주 대륙 국가들의 자주성을 강조한 제임스 먼로 전 대통령의 '먼로주의'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 '도널드'를 합성해 만든 돈로주의는 고립주의 속에 '세계 경찰' 역할을 이어가는 것을 거부하면서도 자국 이익을 위해서는 군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먼로 전 대통령이 미국 독립 후인 1823년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유럽의 불간섭'을 표명했을 때, 그 '아메리카'엔 '라틴 아메리카'도 포함됐다. 미국은 이후 파나마 독립이나 콜롬비아 내전 등을 계기 삼아 남미 국가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합>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