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이탈 가속에…은행들, 금리 올리며 '돈 지키기' 총력
9월 말 대비 20조 감소…하루 평균 8779억원씩 빠져나간 셈
최근 부동산·주식 가격 상승과 함께 투자 열기가 달아오르면서 은행에서 예금이 눈에 띄게 빠져나가고 있다.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잔액도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이처럼 흘러 나가는 예금을 잡기 위해 은행권은 일제히 예금 금리를 올리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23일 현재 모두 649조5330억원으로, 9월 말(669조7238억원)과 비교해 20조1908억원 감소했다.
하루 평균 8779억원씩 빠져나간 셈이다.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월말까지 약 27조원이 줄어 2024년 7월(-29조1395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요구불예금은 아직 뚜렷한 용도나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대기 중인 시중자금이다. 최근 유출된 예금 가운데 상당 부분이 부동산이나 증시로 흘러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국내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20일 80조6257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에 이르렀다. 가계대출에서는 이례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아닌 마이너스 통장 중심의 신용대출이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잇단 규제로 주택담보대출을 충분히 받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의 23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04조5213억원으로, 9월 말(103조8079억원)보다 7134억원 늘었다. 지난달 2711억원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지난달 말 38조7893억원에서 현재 39조3202억원으로 5309억원 급증했다. 2024년 8월(+5천704억원) 이후 1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미국·국내 증시, 코인 시장 활황으로 주식과 코인에 마이너스통장 자금이 투자된 것 같고, 급작스러운 부동산 대출 규제 발표 이후 부동산 계약금 등으로도 마이너스통장이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전체 가계대출 잔액(765조9813억원)은 이달 들어 1조8864억원 불었다. 하루 820억원꼴이다. 이 속도가 월말까지 이어진다면 10월 증가 규모는 2조5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9월(+1조1964억원)의 두 배를 넘지만, 6월(+6조7536억원)·7월(+4조1386억원)·8월(+3조9251억원)과 비교하면 뚜렷하게 위축된 상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1조2183억원(608조9848억원→610조2031조)에 불과하다. 급감한 9월(+1조3134억원)보다 작다.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은 1434억원 뒷걸음쳤다. 9월(-344억원)에 이은 감소세로, 5대 은행 전세자금대출이 두 달 이상 줄어든 것은 작년 4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6·27, 10·15 등 부동산 대책으로 전반적으로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어려워지자 전세 물건도 귀해지면서 관련 대출도 줄어드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